Surprise Me!

[단독]“계엄 해제 후 작전 검토하고 정당성 강조”

2024-12-13 14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김용현 전 장관이 계엄령 해제 직후 '사후 검토'를 실시한 걸로 전해졌습니다. <br> <br>군사작전을 다시 살펴본 건데, 이후 군 수뇌부를 상대로 계엄이 필요했다고 주장한 걸로 알려졌는데요. <br> <br>김민곤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6시간 만에 해제를 발표한 지난 4일 새벽.  <br><br>[계엄해제 담화 (지난 4일)] <br>"국회의 요구를 수용하여 계엄을 해제할 것입니다." <br> <br>그러자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즉각 계엄에 대한 '사후 검토'를 실시한 것으로 채널A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. <br><br>계엄 해제 직후, 계엄 선포부터 시작해 군사작전은 어떻게 이뤄졌는지를 다시 한 번 살펴본 겁니다. <br><br>김 전 장관은 이후에도 계엄에 반대해왔던 군 수뇌부들을 대상으로 계엄의 정당성을 강조한 것으로도 파악됐습니다. <br> <br>이 자리에서 김 전 장관은 구체적으로 계엄법 2조 2항 말미를 인용하면서 "계엄의 필요성을 느꼈다"는 주장을 펼쳤다고 전해졌습니다.<br> <br>논란이 되는 계엄의 조건, '전시·사변의 경우'보다 그 뒷 조건인 "행정과 사법기능 수행이 현저히 곤란해 공공의 안녕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계엄을 선포한다"는 내용에 포커스를 맞춘 겁니다.<br><br>이는 윤 대통령의 주장과 같은 맥락입니다.  <br><br>[계엄선포 담화 (지난 3일 밤)] <br>"우리 국회는 범죄자 집단의 소굴이 되었고, 입법 독재를 통해 국가의 사법·행정 시스템을 마비시키고…" <br> <br>김 전 장관은 계엄 해제 당일 사의를 표명하며 "국민들께 혼란을 드려 책임을 통감한다"고 발표했습니다. <br><br>하지만 정작 비공식석상에서는 정반대 입장을 내놓으며 내부 수습과 향후 대책 마련에 나선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민곤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조아라<br /><br /><br />김민곤 기자 imgone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